산에 오르면 山에 오르면, 사람들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 <산에 오르면> 산에 오르면 사람들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. 무의미한 말의 장난에서 벗어나 입 다물고 자연의 일부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. 지금까지 밖으로만 향했던 눈과 귀와 생각을 안으로 거두어들여야 한다. 그저 열린 마음으로 무심히 둘레를.. <詩 휴게실>/詩의 오솔길 2010.03.18
너는 네 세상에 어디 있는가 다시 한번나직한 목소리로 물어보라 '너는 네 세상 어디에 있는가?' <너는 네 세상 어디에 있는가> '너는 세상에 어디 있는가? 너에게 주어진 몇몇 해가 지나고 몇몇 날이 지났는데, 너는 네 세상 어디쯤 와 있는가?' 마르틴 부버가 <인간의 길>에서 한 말이다. 이 눈으로만 스치고 지나치지 말고.. <詩 휴게실>/詩의 오솔길 2010.03.18
모든 것은 지나간다. 말과 침묵 세월도 그렇고 인심도 그렇고 세상만사가 다 흘러가며 변한다. <모든 것은 지나간다> 개울가에 앉아 무심히 귀 기울이고 있으면 물만이 아니라 모든 것은 멈추어 있지 않고 지나간다는 사실을 새삼스레 깨닫는다. 좋은 일이든 궂은 일이든 우리가 겪는 것은 모두가 한때일 뿐, 죽지 않고 살아 있는.. <詩 휴게실>/詩의 오솔길 2010.03.18
다시 길을 떠나며...물처럼 흐르라 이곳에 옮겨 와 살 만큼 살았으니 이 봄에 나는 또 길을 찾아 나서야겠다 <다시 길을 떠나며> 이 봄에 나는 또 길을 찾아 나서야겠다. 이곳에 옮겨 와 살 만큼 살았으니 이번에는 새로운 자리로 옮겨 볼 생각이다. 수행자가 한 곳에 오래 머물면 안일과 타성의 늪에 갇혀 시들게 된다. 다시 또 서툴.. <詩 휴게실>/詩의 오솔길 2010.03.17
나무처럼. 山 <산> 산을 건성으로 바라보고 있으면 산은 그저 산일 뿐이다. 그러나 마음을 활짝 열고 산을 진정으로 바라보면 우리 자신도 문득 산이 된다. 내가 정신없이 분주하게 살 때에는 저만치서 산이 나를 보고 있지만 내 마음이 그윽하고 한가할 때는 내가 산을 바라본다. <나무처럼> 새싹을 틔우고 .. <詩 휴게실>/詩의 오솔길 2010.03.17
법정스님을 떠나보내 드리던 날... 우리에게 큰 깨달음을 주셨던 법정 큰 스님께서 3월11일 오후 1시 52분에 입적 하셨습니다 법정 큰 스님의 극락왕생을 기원드립니다! 몸은 내몸이 아니라 다만 빌어쓰는 것일 뿐이다 무소유란,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져 있는가를 살피는 일이다~ . . . 모.. <일상 이야기>/일상이야기 2010.03.14
동해의 일출은 언제나 아름다워라 <정동진/ 정호승, 정동진 연가/ 김설하, 정동진/ 신봉승, 정동진 일출/ 권정아> 우리가 밤을 다하여 밤열차를 타고 태백을 넘어, 동해의 새벽에 닿은 까닭은.... <정동진/ 정호승> 밤을 다하여 우리가 태백을 넘어온 까닭은 무엇인가 밤을 다하여 우리가 새벽에 닿은 까닭은 무엇인가 수평선 너머.. <詩 휴게실>/가을,겨울 時 2010.03.11
아! 민주지산~~ △눈보라치는 정상에서 친구와(왼쪽 모자쓴 이가 쥔장) 사람들은 참 변덕스럽다. 뜨거운 정열의 여름을 그리워 하다가는 여름 한 복판에서는 선선한 가을의 밤을 그리워 하기도 하고, 눈 내리는 하얀 겨울의 풍경을 마음속에 그리다가도 꽁꽁 여민 목도리 사이로 스며드는 추위에는 자라.. <山이 좋아서>/기타 지방 2010.03.07
운악산의 기암 △코끼리바위/ 현등사에서 절고개로 오르는 우측 비알에 있다 △부끄럼바위/ 운주사 쪽에서 무지개 폭포를 지나 능선을타고 오르면 나타난다 △버섯을 닮은 기암/ 상행길 눈썹바위를 조금 지나면 나온다 △남근석/ 정상에서 절고개로 내려오는 전망대에서 건너편 산기슭을 보면 보인다 △눈썹바위옆.. <山이 좋아서>/수도권 2010.03.02
계관산~삼악산 종주 △등선봉 암릉의 570봉 풍경 ◈ 산행지 : 작은 촛대봉(계관산)~삼악산(654m) 등선봉 종주 ◈ 산행코스 : 개곡리종점~작은 촛대봉(665m)~460봉~석파령~청운봉(546m)~흥국사 삼거리~619봉~등선봉(636m)~강촌 ◈ 산행거리 및 소요시간 ; 19km (08:00~17:40 - 9시간 40분) ☞20cm 이상 쌓인 눈을 러셀하느라 지체. .. <山이 좋아서>/수도권 2010.02.22